스포츠 심리학은 심리학 원리를 스포츠 상황에 적용하는 학문으로, 주된 목적은 수행 향상이다. 이 학문은 수행 향상을 위해 해당 원리들을 적극 활용한다.
운동선수와 성격:가장 효과적인 성격 이해 방법은 구조를 조망하는 것이다. 심리학적 시각에서 성격은 3가지 구성요소로 이뤄져 있으며, 심리적 핵, 전형적 반응, 그리고 역할과 연관된 행동으로 나뉜다. 이러한 성격 구성은 각각 분리되어 있지만 상호 연결도 존재한다. 심리적 핵은 내적이면서도 일관성 있는 특성으로 각 개인의 실제 이미지를 투영한다. 또한 자아개념을 포함하며, 이는 개인의 성격 특성과 기본적인 태도, 가치, 흥미, 그리고 동기를 나타낸다. 전형적 반응과 역할과 관련된 행동은 주로 외부적이고 활동적인 특성을 지닌다. 전형적 반응은 환경적 상황에 대한 전형적인 반응 양식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신체적 공격에 대응하여 공격적인 태도를 취할 수 있으며, 이는 의도적이거나 상황적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역할과 관련된 행동은 성격의 표면적인 측면을 나타낸다. 결국, 환경이나 인식이 변하면 우리의 행동도 변화하게 된다. 운동과 주의의 관계:코치나 지도자가 운동선수의 성능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환경을 지속해서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야구에서 투수가 4가지 투구법(커브, 슬라이드, 속구, 변화구)을 사용한다면, 각 투구의 발생 가능성은 25%일 것이다. 이 상황에서 투수(A)가 4가지 투구를 자유롭게 사용하지만, 각각을 규칙적으로 동등하게 사용하지 않을 것이다. 투수(A)가 예를 들어 70%의 확률로 변화구를 던진다면, 예측이 어려워지며 정보의 양이 늘어나면서 상대방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가한다. 즉, 테니스 선수가 8가지 지점을 공격할 수 있다면 4가지만을 사용하는 선수보다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는 주의 깊은 분석과 연구를 통해 경기 상황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을 줄일 수 있다. 스포츠에서 성공과 실패의 결정적인 차이는 반응 지연(response delay)에 있다. 반응 지연은 많은 정보를 처리하는 데 관련이 있다. 반응 시간이 느리다면 기본적인 과제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초보자와 숙련자 농구 선수 간의 차이는 정보 처리 공간에서 나타난다. 초보자는 드리블 동안 주의를 기울일 수 있는 공간이 한정적이다. 그들은 경기 중에 코치의 지시를 듣거나 다른 선수를 주시할 수 없다. 이를 주의 협소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숙련자는 드리블 동안 관련된 단서만을 주시하며, 정보 처리에 필요한 주의 요구가 줄어든다. 주의의 폭이 너무 넓으면 농구선수는 부적절한 단서에 주의를 기울여 성능을 저하할 수 있다. 주의의 협소와 각성 수준의 균형이 필요하며, 지나치게 높은 각성은 긴장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주의와 각성의 조절이 필요하다. 운동과 각성의 관계: 각성수준을 X축, 운동 수행을 Y축으로 하여 직선으로 나타낸 것을 각성과 수행의 직선적 관계 또는 욕구 이론이라고 부른다. 이 이론은 간단한 과제나 초보 학습자에게는 적합하지만, 복잡한 운동 과제에는 적합하지 않은 한계가 있다. 또 다른 이론으로 역 U 이론이 있으며, 이는 그래프상에서 U를 뒤집은 형태를 나타낸다. 역 U 이론은 수행과 각성의 관계가 이차적이며 직선에 반대되는 형태를 갖는다. 이 이론은 스포츠 상황에서 욕구 이론보다 더 타당하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역 U 이론의 큰 문제는 어떻게 적절한 각성 수준을 찾을 것인가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각성이 최고점을 넘어서면 운동수행이 감소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최적의 수행을 가져다주는 적절한 각성 수준은 개인의 능력과 과제의 특성에 따라 다르다. 높은 각성 수준에서는 미식축구의 태클, 투포환, 역도, 200, 400M 달리기와 같은 스포츠 기술이 잘 될 수 있으며, 중간 정도의 각성 수준에서는 농구, 복싱, 유도, 체조, 야구, 투구, 다이빙 등이 가능하다. 각성 수준이 낮을 때에는 양궁, 골프 퍼팅, 농구 자유투, 축구의 PK와 같은 기술이 잘 될 수 있다. 중요한 점은 적절한 수준이 항상 중심이 아닐 수 있으며, 개인 간에 큰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선수 개개인은 최고의 수행을 발휘할 때 자신만의 고유한 적절한 수준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범위로 표시된다. 한국에서는 심리학 분야에서 유명한 사람 중에는 김연아의 정신적인 훈련과 관련하여 활동한 스포츠심리학자 이인숙 박사가 있습니다. 김연아는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 그녀의 성과는 뛰어난 물리적 기술뿐만 아니라 강력한 정신적 강도에도 기인합니다. 이인숙 박사는 김연아의 성공에 기여한 한 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녀는 김연아에게 긍정적인 마음가짐 셋과 스트레스 관리 기술 등을 통해 경기 중 및 경기 이후에도 안정된 정신적 상태를 유지하는 방법을 가르쳤습니다. 또한 손흥민의 성공적인 축구 경력과 함께 스포츠심리학 분야에서 활동한 김길래 교수가 있습니다. 손흥민은 그의 뛰어난 심리적 강인성과 스포츠 심리학적인 훈련을 통해 경기 상황에서의 안정성과 팀과의 협업 능력을 향상했습니다. 또한 국외에서는 마이클 조던과 함께 일한 스포츠심리학자인 테리 오르기에 가 있습니다. 테리 오르기에는 NBA 스타인 마이클 조던과의 협업으로 유명하며, 조던의 탁월한 경기력과 리더십을 높이는 데 기여했습니다. 그의 업적은 프로 스포츠계에서도 극찬받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국내외에서는 유명한 스포츠심리학자들이 있으며, 선수들의 심리적인 면을 향상하고 경기에서의 성과를 극대화하는 데 기여한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트의 심리학적 기여와 실험심리학의 탄생 (0) | 2023.11.07 |
---|---|
심리검사와 그 발전 (0) | 2023.11.06 |
법심리학과 그 연관 분야들 (0) | 2023.11.05 |
인간공학 또는 공학 인간학 (0) | 2023.11.04 |
교육심리학: 교육과 심리학의 융합 (0) | 2023.11.04 |